목록DB 정리 (3)
404 Brain Not Found
UNION, UNION ALL 구문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.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테이블을 JOIN 해서 보여줄 때는 참조할 수 있는 key가 존재해야 합니다.하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도 여러 테이블을 합쳐서 출력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 그럴 때 UNION, UNION ALL을 사용합니다. 요약하자면 UNION과 UNION ALL은 SQL에서 두 개 이상의 SELECT 문의 결과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연산자입니다.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1. UNION-두 개 이상의 SELECT 문의 결과를 결합합니다.-중복된 행을 제거합니다. 결과 집합에는 고유한 행만 포함됩니다. -결과를 정렬합니다. (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).-성능 면에서는 UNION ALL보다 ..
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JOIN을 사용합니다.A 와 B 테이블을 설계하였을때 A 와 B 두개의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는 Key가 존재한다면 두개의 테이블의 데이터를 합쳐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장점입니다. 이때 두개의 테이블의 데이터를 합칠수 있는 구문이 바로 JOIN입니다. 관계가 있는 두개의 테이블을 하나로 합쳐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. JOIN 문법은 대표적으로 6개가 존재합니다.주요 JOIN 유형1. INNER JOIN: 두 테이블에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반환합니다.SELECT * FROM Orders oINNER JOIN Customers c ON o.CustomerID = c.CustomerID 2. ..
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때 대부분 직접적으로 SQL 구문을 작성하게 됩니다.이때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것은 주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 입니다. 데이터를 조회할때 SELECT 쿼리를 작성하게 되는데, 성능이 좋은 SELECT 쿼리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SELECT 문의 실행 순서를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 STEP 1. SELECT 문의 실행 순서.1. FROM :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합니다.2. WHERE: 조건에 맞는 행을 필터링합니다.3. GROUP BY: 지정된 열을 기준으로 행을 그룹화합니다.4.HAVING: 그룹화된 결과에 대한 조건을 적용합니다.5.SELECT: 최종적으로 출력할 열을 선택합니다.6.ORDER BY: 결과를 정렬합니다.7.LIMIT / OFFSET: 결과의..